본문 바로가기

u-boot

(3)
u-boot Ethernet 기능 활성화 u-boot에 Ethernet 기능이 꺼져 있어, TFTP를 이용한 원격 커널 부팅이 불가능했다. 뻔질나게 SD 카드를 옮기고 복사하면서 개발하는 것은 효율이 너무 낮아 네트웍 기능을 켜 보았다. sun8i-s3-foxnux.dts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 USB 관련 변경은 무시하자. diff --git a/arch/arm/dts/sun8i-s3-foxnux.dts b/arch/arm/dts/sun8i-s3-foxnux.dts index 758c3ffeaf..1f51e305a6 100644 --- a/arch/arm/dts/sun8i-s3-foxnux.dts +++ b/arch/arm/dts/sun8i-s3-foxnux.dts @@ -49,6 +49,7 @@ compatible = "licheepi,..
u-boot 로고 이미지 변경하기 부팅할때 LCD 왼쪽 구석에 보이는 쬐끄만 펭귄 로고를 나만의 로고 이미지로 변경하고 싶으면 아래 절차를 따르면 된다. 먼저 로고 이미지를 만들어 보자. FoxNux의 7인치 LCD 해상도는 1024x600 이므로 같은 크기의 JPG 포맷의 그림 파일을 만들어 저장한다. 이번 예제어서는 파일 이름은 1024x600_fox_board_logo.JPG으로 정했다. u-boot에서 지원하는 로고 이미지는 256종류의 색상을 지원하는 8-bit BMP만 지원한다.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하던 시절에 메모리 사용량을 최대한 절약하기 위해서 생긴 제약이 아직도 유지되는 것 같다. 색상의 종류에 대한 제한이 크므로 사진같은 이미지 보다는 단순한 로고 형태의 이미지를 추천한다. "sudo apt install netpbm..
FoxNux용 u-boot 빌드와 설치 타겟 보드의 RAM 용량이 크고 CPU가 빠르고 Debian 계열의 OS가 설치되어 있다면 보드에서 직접 컴파일(Native build)을 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 그런데 FoxNux 보드는 CPU가 느린편이고 RAM 공간이 128MB 뿐이라 어려울 것이다. 쓸데없는 고생하지 말고 PC에서 Cross-toolchain을 이용하여 컴파일을 하자. 내가 사용하는 개발 PC는 x86-64bit용 Ubuntu 19.10이 동작하고 있다. 작년 여름에 18.04를 설치하였고 6개월마다 업그레이드를 하였더니 19.10되었다. 업그레이드 할때마다 자잘한 문제가 있었으나 6~7년전에 부팅조차 망가지던 것에 비하면 애교로 보인다. 내년에 20.04 LTS로 올리고나면 Major 업그레이드 없이 자잘한 update만으로 ..